출처 :
2018 국민건강통계; 보건복지부, 질병관리본부(국가승인통계 제117002호, 국민건강영양조사)
주석 :
○ 뇌졸중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뇌졸중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30세이상
○ 천식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천식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19세이상
○ 알레르기비염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알레르기비염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19세이상
○ 아토피피부염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아토피피부염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19세이상
※2005년 추계인구(장래인구추계, 2016.12.공표)로 연령표준화
출처 :
2018 국민건강통계; 보건복지부, 질병관리본부(국가승인통계 제117002호, 국민건강영양조사)
주석 :
○ 고혈압 유병률 :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약물을 복용한 분율, 만30세이상 (2011년 남자 팔높이 83cm, 여자 팔높이 81cm 기준으로 AHA(1967)에 근거하여 2008년 7월~2010년 측정치 보정 산출)
○ 당뇨병 유병률 : 공복혈당이 126mg/dL 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는 분율, 만30세이상
○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: 총콜레스테롤이 240㎎/dL 이상이거나 콜레스테롤강하제를 복용한 분율, 만30세이상 (1998,2001년 약복용 여부 미조사로 2005년부터 결과 제시)
○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 : 중성지방이 200㎎/dL 이상인 분율, 만30세이상
○ 빈혈 유병률 : 현재 빈혈(헤모글로빈 기준)을 가지고 있는 분율, 만10세이상 (헤모글로빈(g/dL) : 10-11세 11.5미만, 12-14세 12미만, 15세이상 비임신여성 12미만, 임신여성 11미만, 남성 13미만)
※2005년 추계인구(장래인구추계, 2016.12.공표)로 연령표준화
출처 :
2018 국민건강통계; 보건복지부, 질병관리본부(국가승인통계 제117002호, 국민건강영양조사)
주석 :
○ 뇌졸중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뇌졸중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30세이상
○ 천식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천식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19세이상
○ 알레르기비염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알레르기비염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19세이상
○ 아토피피부염 의사진단경험률 : 의사로부터 아토피피부염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분율, 만19세이상
※2005년 추계인구(장래인구추계, 2016.12.공표)로 연령표준화
국가통계포털(KOSIS)
출처 :
2018 국민건강통계; 보건복지부, 질병관리본부(국가승인통계 제117002호, 국민건강영양조사)
주석 :
○ 고혈압 유병률 :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약물을 복용한 분율, 만30세이상 (2011년 남자 팔높이 83cm, 여자 팔높이 81cm 기준으로 AHA(1967)에 근거하여 2008년 7월~2010년 측정치 보정 산출)
○ 당뇨병 유병률 : 공복혈당이 126mg/dL 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는 분율, 만30세이상
○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: 총콜레스테롤이 240㎎/dL 이상이거나 콜레스테롤강하제를 복용한 분율, 만30세이상 (1998,2001년 약복용 여부 미조사로 2005년부터 결과 제시)
○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 : 중성지방이 200㎎/dL 이상인 분율, 만30세이상
○ 빈혈 유병률 : 현재 빈혈(헤모글로빈 기준)을 가지고 있는 분율, 만10세이상 (헤모글로빈(g/dL) : 10-11세 11.5미만, 12-14세 12미만, 15세이상 비임신여성 12미만, 임신여성 11미만, 남성 13미만)
※2005년 추계인구(장래인구추계, 2016.12.공표)로 연령표준화
국가통계포털(KOSIS)
[지표설명]
■ 만성질환의 개념 및 의의
○ 만성질환은 사람간 전파가 없는 비감염성 질환을 말하며, 질병의 진행속도가 완만한 것이 특징이며, 크게 심혈관계질환(심근경색 및 뇌졸중), 암, 만성폐질환(만성폐쇄성폐질환, 천식), 당뇨병으로 분류(Noncommunicable diseases fact sheet, 2015, WHO)
○ 유병률은 우리나라 인구 중 해당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분율(%)
■ 만성질환의 현황 및 활용도
○ 만성질환의 지표는 우리나라 만성질환의 유병 및 관리 현황을 간접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만성질환의 예방 및 관리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
[지표해석]
■ 만성질환 추이 분석
○ 만성질환별 유병률
- 뇌졸중 의사진단경험률(만30세이상, 표준화)은 2018년 1.8%로, 2005년부터 2% 수준
- 천식 의사진단경험률(만19세이상, 표준화)은 2018년 3.2%이며, 2005년부터 2-3% 수준
- 알레르기비염 의사진단경험률(만19세이상, 표준화)은 2018년 16.7%이며, 2010년부터 14-17% 수준
- 아토피피부염 의사진단경험률(만19세이상, 표준화)은 2018년 4.8%이며, 2007년부터 2-4% 수준 유지
- 고혈압 유병률(만30세이상, 표준화)은 2018년 28.3%이며, 1998년 29.8%에서 2007년 24.5%로 감소한 이후 증가하여 25~29% 수준
*남자 : 2018년 33.2%이며, 1998년 32.4%에서 2007년 26.8%로 감소한 이후 증가
*여자 : 2018년 23.1%이며, 1998년 26.8%에서 2007년 21.7%로 감소한 이후 21~23% 수준
- 당뇨병 유병률(만30세이상, 표준화)은 2018년 10.4%이며, 2005년부터 9-11% 수준
*남자 : 2018년 12.9%이며, 2005년부터 10~12% 수준
*여자 : 2018년 7.9%이며, 2005년부터 7~9% 수준
-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(만30세이상, 표준화)은 2018년 21.4%이며, 지속적으로 증가
*남자 : 2018년 20.9%이며, 2005년 7.3%에서 2.9배 증가
*여자 : 2018년 21.4%이며, 2005년 8.4%에서 2.5배 증가
※성별 만성질환 유병률: 첨부 파일(2018 국민건강통계) 참조
■ 미래예측 및 향후 정책방향
○ 인구의 노령화, 생활 및 식습관의 변화, 환경오염의 증가로 만성질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주요 만성질환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음
○ 만성질환 발생 및 사망의 증가로 만성질환의 사회, 경제적 질병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에 대한 예방 및 관리정책이 필요함
○ 따라서 만성질환의 현황 파악 및 근거 중심의 대책마련을 위한 국가 및 지역단위 조사감시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심뇌혈관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수행하고 있음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. |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