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
통계청, 『2017년 출생통계(확정), 국가승인통계 제10103호 출생통계』
주석 :
* 합계 출산율 (TFR, Total Fertility Rate) :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로서 연령별 출산율(ASFR)의 총합이며,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임
출처 :
통계청, 『2017년 출생통계(확정), 국가승인통계 제10103호 출생통계』
주석 :
* 합계 출산율 (TFR, Total Fertility Rate) :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로서 연령별 출산율(ASFR)의 총합이며,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임
국가통계포털(KOSIS) :
[인구동향조사]
상세 통계표 조회하기(클릭)
[지표 설명]
■ 합계출산율(TFR, Total Fertilty Rate) 개념
°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나타낸 지표로서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국제적 지표
* 작성근거 : 통계법 제18조 제1항 규정에 의한 지정통계(인구동향조사)
■ 수치해석방법
° 합계출산율이 높을수록 한 여성이 출생하는 자녀수가 많다는 의미
[지표 해석]
■ 합계출산율 추세
° 추이 및 변동요인 분석
- 합계출산율은 '05년 1.08명 이후, 12년 만에 처음으로 1.10명이하로 감소
- 이와 같은 변동요인으로는 혼인건수가 '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감소폭은 증가하는 경향임
° 2017년 출생통계(확정) 결과 분석
- 2017년 총 출생아 수는 35만 7천 7백 명으로 전년보다 11.9% 감소
- 합계출산율(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)은 1.052명으로 전년(1.172명) 보다 0.12명 감소
합계출산율 :
연령별 출산율(ASFR) :
○ 우리나라 국민이 “통계법”과 “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”에 따라 전국의 읍,면,동사무소 및 시,구청(재외 국민은 해외공관)에 신고한 출생 및 사망 신고서의 신고내용
- 그 외에 무연고자(행려자)에 대한 직권신고 자료와 영·유아 화장신고 자료, 모자보건법에 의한 신생아 사망신고 자료 등을 추가적으로 보완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