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
국토교통부「수자원장기종합계획」, 2016
주석 :
* 수자원현황통계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(보완) 시 작성되며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 제17조에 따라 20년 단위의 계획을 수립하고 5년마다 검토함
*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해는 자료가 없음('70년, '75년, '85년)
* 등록 자료는 2016.12 수립된 3차 수정계획(2001-2020)임
출처 :
국토교통부「수자원장기종합계획」, 2016 * 통계공표시기 : 익년 12월
주석 :
* 수자원현황통계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(보완) 시 작성되며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 제17조에 따라 20년 단위의 계획을 수립하고 5년마다 검토함
*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해는 자료가 없음('70년, '75년, '85년)
* 등록 자료는 2016.12 수립된 3차 수정계획(2001-2020)임
국가통계포털(KOSIS)
[지표설명]
■ 수자원 현황 지표 개념
수자원현황이란? 수자원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하여 이수, 치수, 환경생태 등의 수자원 분야별 지표(숫자)또는 말로 표현한 것으로 수자원계획의 수립과 하천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
■ 수자원 현황 지표 의의 및 활용도
° 수자원현황 지표는 현재의 물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장래 수요를 예측하고 미래를 대비한 최적의 수자원이용 · 개발 · 보전을 위한 계획에 활용
■ 수치 산출방법
° 수자원총량은 30년 평균강수량에 국토면적을 곱하여 산정됨(남한 국토면적 99.7km2 * 연평균 강수량 + 북한지역 유입량(23억m3)
° 당해 연도 강우량은 30년 평균 강우량 등과는 달리 해당년도의 기상상황에 따른 강우량임
° 수자원이용현황은 댐, 하천수, 지하수 등의 모든 수자원을 이용한 양임
° 용도별 이용량은 다음과 같이 산정됨
- 생활용수 : 상수도 급수지역 수요 + 미급수지역 수요 + 기타 지하수이용
- 공업용수 : 기존 공단 및 개별입지업체 수요 + 계획공단 및 개별입지업체 수요
- 농업용수 : 논용수 + 밭용수 + 축산용수
- 유지용수 : 생활,공업,농업,환경개선,발전,주운 등의 하천수 사용을 고려하여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
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(수질보전,생태계보호,경관보전,염수침입방지,하구 막힘방지,
하천시설물 및 취수원보호,지하수위 유지 7개 항목을 위한 필요유량을 감안하여 산정 )
[지표해석]
■ 수자원 증감 추이
° 당해연도 강수량은 매년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수자원 공급 불안정성의 원인이 되고 있음
° 수자원총량은 소폭 증가하는 가운데 총 이용량은 80년대 128억㎥부터 90년대 후반 260억㎥까지 20여년간 2배 이상 크게 증가
- '80년대~'90년대 수자원 총 이용량의 증가는 인구증가, 경제성장 및 산업발달 등 물수요량 증가와 댐 건설 등 이수시설의 확충이 가장 큰 원인이며 세부항목별 원인은 다음과 같음
· 생활용수 : 인구증가, 생활수준 향상
· 공업용수 : 산업발달로 인한 이용량 증가
· 농업용수 : 산업구조 변화, 관개시설 증가
· 유지용수 : 수질보전, 생태계보호 등을 위한 유지용수량 증가
° 2000년대부터 용수이용량 증가추세는 완화되어 2014년에는 251억㎥을 나타내고 있음
- 생활·공업용수 : 급수인구 증가, 1인 급수량 감소, 유수율 제고 등 영향으로 정체상태
- 농업용수 : 경지면적 감소, 수리답률 증가 등 영향으로 전체 이용량대비 점유 비율이 점차로 감소하고 있음
<연도별 용수이용 변화>
(단위 : 억톤/년)
연도구분 |
1980년 |
1990년 |
1994년 |
1998년 |
2003년 |
2007년 |
2014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총 이용량 |
128 |
213 |
237 |
260 |
262 |
255 |
251 |
생활용수 |
19 |
42 |
62 |
73 |
76 |
75 |
76 |
공업용수 |
7 |
24 |
26 |
29 |
26 |
21 |
23 |
농업용수 |
102 |
147 |
149 |
158 |
160 |
159 |
152 |
■ 국제비교
°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,299.7mm(1986~2015년 평균)로 세계 평균 813mm의 약 1.6배이나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인구 1인당 연 강수총량은 2,546㎥로 세계 평균 15,044㎥의 약 1/6에 불과함
- 1,500mm 이상의 연평균 강수량을 갖는 국가는 일본, 뉴질랜드 등이며, 우리나라와 비슷한 1,000~1,500mm 국가는 영국, 노르웨이, 오스트리아 등이 해당
° 우리나라의 1인당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은 '15년 기준 1,488㎥
■ 향후전망 및 대책
° '00년대 이후 용수이용량은 완만한 인구증가 및 경제성장으로 증가추세가 완화될 전망이며, 하천환경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유지용수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짐
° 환경부에서는 '물 걱정 없는 행복하고 풍요로운 세상'이라는 비전을 통해 맑은 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물이용종합계획과, 홍수에 안전한 국토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치수종합계획, 생명이 살아있는 친수환경 조성, 수자원 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1 |
![]() |
2017-09-07 |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