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
한국전력거래소 자료
주석 :
* 최대전력 발생일 기준
출처 :
한국전력거래소 자료
주석 :
* 최대전력 발생일 기준
■ 지표 개념
ㅇ 최대전력수요 : 일년중 전력사용이 최대로 되는 순간의 전력수요를 의미
ㅇ 발전설비 용량 : 전력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소 용량의 확보 정도를 의미
ㅇ 예비율 : 최대 전력수요에 비해서 발전설비 용량이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를 의미하며 총 발전설비 용량의 여유를 의미하는 설비예비율과 총 발전설비 용량에서 고장, 정비 등을 차감한 여유를 의미하는 공급예비율로 나눌 수 있음
■ 지표 의의 및 활용도
ㅇ 전력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매순간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어야 하므로 항상 최대 전력수요보다 어느 정도 여유를 가진 공급능력(발전설비용량)을 갖추어야 하며, 이 여유정도는 예비율을 통하여 쉽게 알 수 있음
ㅇ 발전설비는 단기간에 건설이 불가능한 설비로 짧게는 5년 길게는 20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하므로 장기 전력수요 예측 및 발전설비 건설계획이 중요함
ㅇ 산업통상자원부는 연도별 전력수급동향을 참고하여 장기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,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향후 전력수급 안정에 이바지함
[지표해석]
■ 최대전력수요 증가율 비교
- '20년 최대전력수요는 89.1GW로, 지난 10년 전 대비 17.9% 증가
(최대전력수요는 경제성장률 및 기온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짐)
■ 발전설비용량
- '20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발전설비 규모는 총 129,191MW로 '11년 말 79,342MW 대비 38.6% 증가
* 발전원별 설비용량은 원자력 18.0%, 화력 62.1%, 수력 5.0%, 기타 14.8%로 구성
* 기타 : 신재생, 폐기물(SRF, 폐비닐, 화석연료 부산물 등)
< 에너지원별 발전설비 현황 >
구분 |
화력 |
수력 |
원자력 |
기타 |
합계 |
||
석탄 |
유류 |
LNG |
|||||
발전설비(만kW) |
3,685 |
225 |
4,117 |
651 |
2,325 |
1,917 |
12,919 |
구성비(%) |
31.0 |
3.6 |
31.8 |
5.0 |
18.0 |
14.8 |
100.0 |
■ 향후 전망
- 최대전력은 5G 활성화, 전기차 수요, 이상기온,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인해 미래 수요 불확실성은 증가 전망
- 예비율은 '12년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안정적 전력수급을 유지하고 있고, 향후 신규건설 및 신재생전원 확대 등으로 증가 전망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12 |
![]() |
2019-12-16 |
11 |
![]() |
2019-12-16 |
10 |
![]() |
2019-12-16 |
9 |
![]() |
2019-12-16 |
8 |
![]() |
2019-12-16 |
7 |
![]() |
2019-12-16 |
6 |
![]() |
2019-12-16 |
5 |
![]() |
2019-12-16 |
4 |
![]() |
2019-12-16 |
3 |
![]() |
2019-12-16 |
2 |
![]() |
2019-12-16 |
1 |
![]() |
2019-12-16 |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