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
한국은행「소비자동향조사」
주석 :
통계청에서 조사하던 소비자전망조사는 2008년 9월부터 한국은행에서 소비자동향조사로 조사됨
출처 :
한국은행「소비자동향조사」
주석 :
통계청에서 조사하던 소비자전망조사는 2008년 9월부터 한국은행에서 소비자동향조사로 조사됨
국가통계포털(KOSIS)
[지표설명]
■ 소비자심리지수의 개념
― 소비자심리지수는 현재생활형편, 가계수입전망, 소비지출전망 등 6개의 주요 개별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성한 지수로서 전반적인 소비자심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데 유용
o 6개 개별지수를 표준화 구간(현재 ‘99.1/4분기~’08.2/4분기)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한 후 이를 합성한 종합적인 소비자 심리지표임
― 개별지수가 100보다 높은 경우 긍정적으로 응답한 가구수가 부정적으로 응답한 가구수보다 많음을, 100보다 낮은 경우에는 그 반대를 의미하며,
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높을 경우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기대심리가 과거(‘99.1/4~’08.2/4)평균보다 낙관적임을, 100보다 낮을 경우에는 비관적임을 나타냄
■ 편제방법
구성지수의 선택 |
|
개별지수의 표준화 |
|
소비자심리지수 산출 |
현재생활형편, 생활형편전망
가계수입전망, 소비지출전망
현재경기판단, 향후경기전망 |
→ |
개별지수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*
* 특정 개별지수의 과도한 영향력 을 조정 |
→ |
개별지수의 합산지수를 산출한 후 이를 표준화하고 6개 구성지수 표준 편차의 중앙값(median)을 곱해 소비자심리지수 산출 |
ㅇ지수자체의 증감과 함께 기준치를 상회여부가 보다 중요하므로 두 추이를 함께 보아야 함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29 |
![]() |
2019-06-18 |
28 |
![]() |
2019-05-14 |
27 |
![]() |
2019-04-01 |
26 |
![]() |
2019-01-15 |
25 |
![]() |
2016-04-14 |
24 |
![]() |
2015-12-22 |
23 |
![]() |
2015-07-15 |
22 |
![]() |
2015-03-17 |
21 |
![]() |
2014-12-30 |
20 |
![]() |
2014-09-17 |
19 |
![]() |
2014-07-09 |
18 |
![]() |
2014-01-08 |
17 |
![]() |
2014-01-08 |
16 |
![]() |
2014-01-08 |
15 |
![]() |
2012-12-24 |
14 |
![]() |
2012-07-25 |
13 |
![]() |
2012-05-08 |
12 |
![]() |
2011-10-25 |
11 |
![]() |
2011-10-25 |
10 |
![]() |
2011-10-25 |
9 |
![]() |
2011-10-25 |
8 |
![]() |
2011-06-14 |
7 |
![]() |
2011-05-19 |
6 |
![]() |
2011-05-19 |
5 |
![]() |
2011-03-24 |
4 |
![]() |
2011-03-24 |
3 |
![]() |
2011-03-24 |
2 |
![]() |
2010-01-05 |
1 |
![]() |
2009-06-26 |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