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
행정안전부「각 자치단체별 정원조례 및 시행규칙」
주석 :
* 작성기준 : 매년 12월 말
출처 :
행정안전부「각 자치단체별 정원조례 및 시행규칙」
주석 :
* 작성기준 : 매년 12월 말
[지표설명]
■ 지방공무원 정원 개념
°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되어 자치단체의 사무를 처리하는 공무원을 말하며, 지방공무원에 관한 임용·신분·권리·의무·
책임 등은 지방공무원법에 규정하고 있다.
° 지방공무원은 경력직과 특수경력직으로 구분되며,
- 경력직공무원은 일반직, 특정직으로, 특수경력직공무원은 정무직, 별정직으로 나뉜다.
■ 지표의 활용도
° 국가공무원 및 지방공무원을 구분 또는 전체 정원을 기준으로 정부의 규모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로,
통상 국민1인당 공무원수로 인력규모에 따른 국제간 정부규모를 비교 가능
° 지방자치단체 인력운영 현황을 기준으로 자치단체 조직운영 등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
[지표해석]
■ 지방공무원 정원 추이
° '01년 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여, 지방자치단체의'19년말 공무원 정원은 346,236명임.
(단체장, 자치단체에 두는 국가직 공무원, 교육부 소관 지방교육행정직 제외)
■ 향후 정책 방향
° 행정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주민밀착형 현장 인력 위주 증원 검토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. |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