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
101003호, 인구동향조사
주석 :
* 기대수명(Life expectancy at birth): 0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년수로서,“0세의 기대여명”을 말함.
출처 :
101003호, 인구동향조사
주석 :
* 기대수명(Life expectancy at birth): 0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년수로서,“0세의 기대여명”을 말함.
출처 :
101003호, 인구동향조사
주석 :
* 기대수명(Life expectancy at birth): 0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년수로서,“0세의 기대여명”을 말함.
국가통계포털(KOSIS)
[지표설명]
■ 출생·사망 통계의 개념
° 대한민국 국민에 의해 발생된 출생 및 사망의 내용을 통계로 작성
■ 출생·사망 통계의 의의 및 활용도
° 대한민국의 인구규모 및 인구구조를 변동시키는 대표적인 요인인 출생,사망 현황을 파악하여 국가의 인구, 주택, 보건, 사회복지, 교육, 교통 등에 관한 정책수립및 민간기업의 경영계획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함
【지표해석】
■ 출생·사망 현황
° 출생(2020년)
-총 출생아수 는 27만2,337명으로 전년(30만2,676명)보다 30,339명(10.0%) 감소
- 조(粗)출생률(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)은 5.3명으로 전년(5.9명)보다 0.6명 감소, 통계 작성('70년) 이래 가장 낮음
- 합계출산율(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)은 0.84명으로 전년(0.92명)보다 0.08명 감소,
2001년 이후 초저출산(합계출산율 1.3이하)이 지속되고 있음
° 사망(2020년)
- 총 사망자 수는30만4,948명으로 전년(29만5,110명)보다 9,838명(3.3%) 증가
- 조(粗)사망률(인구 1천 명당 사망자 수)은 5.9명으로 전년(5.7명)보다 0.2명 증가
° 기대수명(출생시 기대여명)
- 2020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전체 83.5년으로 전년대비 0.2년 증가
- 2020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남자 80.5년, 여자 86.5년으로 남녀간 차이는 6.0년으로 전년과 동일
· 2019년 대비 남자 0.2년, 여자 0.2년 증가
· 2010년 대비 남자 3.6년, 여자 2.8년 증가
■ 국제간 비교
° 합계출산율
- 우리나라는 1970년에서 2020년사이(약 50년간)에 약 3.69명 감소하여 출산율 감소 속도가 빠름
° 국제간 합계출산율 비교
(단위: 가임여성 1명당 명)
연도 |
한국 |
일본 |
미국 |
프랑스 |
독일 |
이탈리아 |
영국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970 | 4.53 | 2.13 | 2.48 | 2.48 | 2.03 | 2.43 | 2.43 |
1980 | 2.82 | 1.75 | 1.84 | 1.95 | 1.56 | 1.68 | 1.90 |
1990 | 1.57 | 1.54 | 2.08 | 1.78 | 1.45 | 1.36 | 1.83 |
2000 | 1.467 | 1.36 | 2.06 | 1.87 | 1.38 | 1.26 | 1.64 |
2010 | 1.226 | 1.39 | 1.93 | 2.02 | 1.39 | 1.41 | 1.92 |
2011 | 1.244 | 1.39 | 1.89 | 2.00 | 1.39 | 1.39 | 1.91 |
2012 | 1.297 | 1.41 | 1.88 | 1.99 | 1.41 | 1.42 | 1.92 |
2013 | 1.187 | 1.43 | 1.86 | 1.97 | 1.42 | 1.39 | 1.83 |
2014 | 1.205 | 1.42 | 1.86 | 1.97 | 1.47 | 1.37 | 1.81 |
2015 | 1.239 | 1.45 | 1.84 | 1.92 | 1.50 | 1.35 | 1.80 |
2016 | 1.172 | 1.44 | 1.82 | 1.89 | 1.60 | 1.34 | 1.79 |
2017 | 1.052 | 1.43 |
1.77 |
1.86 | 1.57 |
1.32 |
1.74 |
2018 | 0.977 | 1.42 | 1.73 | 1.84 | 1.57 | 1.29 | 1.68 |
2019 |
0.918 |
1.36 |
1.71 |
1.83 |
1.54 |
1.27 |
1.63 |
2020 |
0.837 |
- |
- |
- |
- |
- |
- |
* p : 잠정, e: 추정
* 자료: www.oecd.org/els/family/database.htm 각국 통계작성기관, 한국 통계청.『2020 출생 통계』 |
° 기대수명
- 우리나라 남자 기대수명 80.5년은 OECD 국가평균(77.9년)보다 2.6년, 여자 기대수명 86.5년은 OECD 국가평균(83.2년) 보다 3.3년 높음
-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나라와 비교하면, 남자(아이슬란드 81.7년)는 1.2년, 여자(일본 87.7년)는 1.2년 각각 낮음
· OECD 38개 회원국 중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전체 2위, 남자 9위, 여자 2위 임(2020년 기준)
° 국제간 기대수명 비교
(년)
|
OECD 35개국 평균 |
한국 |
일본 |
미국 |
프랑스 |
아이슬란드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연도 |
최근년도('19~'20) |
2020 |
2020 |
2020 |
2020 |
2020 |
남자 |
77.9 |
80.5 |
81.6 |
75.5 |
79.2 |
81.7 |
여자 |
83.2 |
86.5 |
87.7 |
80.2 |
85.3 |
84.5 |
자료: OECD.Stat 11월 추출(http://stats.oecd.org) |
■ 향후 전망 및 정책 방향
- 심화되는 저출산 고령화에 따라 정확한 통계 생산으로 정책 기초자료 제공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3 |
![]() |
2021-09-28 |
2 |
![]() |
2021-08-25 |
1 |
![]() |
2021-08-25 |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