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
통계청「지역소득」
주석 :
* 매년 12월말 전년도 잠정자료 발표, 국세,지방세 등 기초통계자료를 보완하여 익년 8월말 확정자료 DB수록
* 기준년 : 2015년
* 2019년 잠정자료 수록(2020.12.)
출처 :
통계청 「지역소득」
주석 :
* 매년 12월말 전년도 잠정자료 발표, 국세,지방세 등 기초통계자료를 보완하여 익년 8월말 확정자료 DB수록
* 기준년 : 2015년
* 2019년 잠정자료 수록(2020.12.)
출처 :
통계청「지역소득」 * 통계공표시기 : 매년 12월말 전년도 잠정자료 발표, 익년 8월 확정자료 발표
주석 :
* 매년 12월말 전년도 잠정자료 발표, 국세,지방세 등 기초통계자료를 보완하여 익년 8월말 확정자료 DB수록
* 기준년 : 2015년
* 2019년 잠정자료 수록(2020.12.)
국가통계포털(KOSIS)
출처 :
통계청 「지역소득」 * 통계공표시기 : 매년 12월말 전년도 잠정자료 발표, 익년 8월 확정자료 발표
주석 :
* 매년 12월말 전년도 잠정자료 발표, 국세,지방세 등 기초통계자료를 보완하여 익년 8월말 확정자료 DB수록
* 기준년 : 2015년
* 2019년 잠정자료 수록(2020.12.)
국가통계포털(KOSIS)
[지표설명]
■ 지역내 총생산(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: GRDP)
o 일정기간 동안 정해진 경제구역 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격 합으로 경제구조나 규모 파악에 활용
■ 지역소득통계의 추계목적 및 활용도
o 추계목적
- 지역소득의 생산, 분배, 지출 각 측면이나 경제주체간 소득 순환을 파악하여, 지역경제의 실태를 포괄적으로 나타내주어 지역의 재정, 경제시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 제공
o 활용도
- 국민경제상의 지역(시·도) 경제의 위치를 알게 하고, 지역경제 상호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민경제의 지역적 분석과 지역개발시책 수립에 활용
- 지역내 산업구조의 실태를 파악하여 산업시책의 구체적 방향 결정, 소득분배의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 생산요소 재분배, 지역 총수요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경제성장에 있어 각각의 기여율을 측정하여 효율적인 수요방안 강구
- 담세능력의 평가척도인 주민의 담세율로부터 지방세 수입을 합리적으로 계획, 지방세제 개정의 기초자료로 이용
- 지역경제구조를 개량적으로 파악하여 지역경제의 장기 예측 등
[지표해석]
■ GRDP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
o 2019년 전국 지역내총생산(명목)은 1,924조원으로, 전년보다 21조원(1.1%) 증가
- 시도별 규모는 경기(478조원), 서울(433조원), 충남(115조원)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
세종(12조원), 제주(20조원), 광주(41조원) 순으로 작게 나타났음
o 전국 지역내총생산의 실질 성장률은 제조업, 금융보험업, 공공행정 및 보건사회복지업 등의 생산이 늘어
전년대비 2.1% 증가
- 세종(6.7%), 대전(3.3%), 강원(3.0%) 등은 전국평균(2.1%) 보다 높게 증가하였으며,
제주(0.9%), 대구(1.2%), 경남(1.4%) 등은 전국 평균보다 낮게 증가
o 수도권의 지역내총생산(명목)은 전국의 52.0%를 차지하며, 2018년에 비해 0.2%p 감소
|
2010 | 2011 |
2012 |
2013 |
2014 |
2015 |
2016 |
2017 | 2018 | 2019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수도권 비중(%) |
49.3 |
49.1 |
49.3 |
49.4 |
49.6 |
50.1 |
50.4 |
51.3 |
52.2 |
52.0 |
■ 향후전망
o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에 의하면 2020년 경제성장률은 2019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첨부된 정책자료가 없습니다. |
![]() |
|||
평가내용 |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||
평가자정보 | 이름 비밀번호 * 지표관련 질문은 [의견 및 질문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 | ||
*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, 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