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 고용동향 의미분석
지표설명
■ 청년고용동향 개념 및 의의° 청년고용동향은 통계청 『경제활동인구조사』자료중 청년층(15~29세)을 대상으로 하는 통계수치임
° 청년층 생산가능인구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연령의 인구 중 청년층(15~29세)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 인구를 합한 수치임
° 청년층(15~29세) 생산가능인구 및 취업자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 고용률이 낮아지게 되고, 경제활동참가율의 감소세는 취업준비생 등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가 중요한 원인
■ 활용도
° 청년실업은 국가적으로 성장 잠재력 저하 등 여러문제를 가져오므로 고용 동향과 별도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, 청년고용대책 및 청년실업의 해소을 위한 정책 수립의 자료로 활용
지표해석
【 25.10월 청년층(15~29세) 고용 특징】□ 청년고용률 44.6%(△1.0%p), ’24.5월 이후 18개월 연속 하락,
핵심 취업 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은 71.5%(△0.7%p)
비경제활동인구 중 ‘쉬었음’ 인구는 40.9만명으로 6개월 연속 감소
□ (청년층 고용률) 청년고용률 44.6%(△1.0%p), ’24.5월 이후 18개월 연속 하락
다만, 핵심 취업 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은 71.5%(△0.7%p) 감소
* ▴청년 고용률(%): (’25.7) 45.8 (8) 45.1 (9) 45.1 (10) 44.6<전년동월비 △1.0%p>
▴20대 전반 고용률(%): (’25.7) 45.8 (8) 44.2 (9) 44.6 (10) 43.6<전년동월비 △0.9%p>
▴20대 후반 고용률(%): (’25.7) 72.0 (8) 71.7 (9) 71.7 (10) 71.5<전년동월비 △0.7%p>
* 주요국 청년(15∼29세) 고용률(%, '24): OECD 55.1, 호주 71.0, 독일 62.9, 일본 62.8,
미국 60.8, 프랑스 48.6, 스페인 43.2
□(청년층 실업률) 5.3%(△0.2%p) 하락,
청년층 확장실업률(고용보조지표3)은 3분기 상승하다가 10월 하락으로 전환,
14.7%로 전년동월대비 △0.5%p 하락
* 청년실업률(%): (’25.7) 5.5 (8) 4.9 (9) 4.8 (10) 5.3<전년동월비 △0.2%p>
* 청년 확장실업률(%): (’25.7) 16.1 (8) 15.3 (9) 15.1 (10)14.7<전년동월비 △0.5%p>
↳ 실업률을 보완하는 보조지표로 가장 범위가 넓어 ‘확장실업률’로 지칭하며,
실업자 외에 지금은 단시간 근로 중이지만 더 일하고 싶은 사람 등을 포함하여 산출
□(청년층 취업자 수) 352.1만명으로△16.3만명 감소 전달에 비해 소폭 확대(9월△14.6만명),
‘22.11월이후 36개월째 연속 감소,
그중 20대 초반은 △8.1만명 감소, 20대 후반은 △7.1만명 감소
ㅇ 산업별 취업자는 산업은 숙박·음식(△7.0만명), 제조업(△5.5만명),
교육서비스(△3.6만명), 예술·스포츠·여가(+3.6만명), 보건복지(+3.6만명) 등
ㅇ 종사상 취업자는 상용(△12.2만명), 고용無자영(△4.9만명)등에서 감소
□(청년층 실업자 수) 19.9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△1.7만명 감소했으며,
20대 초반은 △0.6만명 감소 하고, 20대 후반도 △1.1만명 감소
□(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) 417.4만명(△0.4만명 감소)
ㅇ 청년비경활 중 쉬었음* 청년은 40.9만명으로 6개월 연속 감소,
감소폭은 축소되었으나, 인구 중 비중은 5.2%로 여전히 높은 수준
* (쉬었음 정의) 조사주간(15일을 포함한 1주일)에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, 막연히 쉬고 싶은 상태에 있는 사람
* 쉬었음 청년(만명): ('21) 41.8 ('22) 39.0 ('23) 40.1 ('24) 42.1 ('25.10) 40.9<전년동월대비 △0.9>
* 청년 쉬었음 증감(만명): (’25.5) △0.3 (6) △1.8 (7) △0.7 (8) △1.4 (9) △3.4 (10) △0.9
* 청년 인구대비 쉬었음 비중(%): (’25.5) 5.0 (6) 5.1 (7) 5.5 (8) 5.6 (9) 5.1 (10) 5.2
- 쉬었음 사유는 ‘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(34.1%, +3.3%p)’,
‘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음(19.9%, △1.0%p)’ 順(’25.8. 비경활 부가조사)
ㅇ 청년층 확장실업률(고용보조지표3)은 14.7%로 전년동월대비 △0.5%p 하락
* 청년 확장실업률(%): (’25.7) 16.1 (8) 15.3 (9) 15.1 (10) 14.7<전년동월비 △0.5%p>
↳ 실업률을 보완하는 보조지표로 가장 범위가 넓어 ‘확장실업률’로 지칭하며,
실업자 외에 지금은 단시간 근로 중이지만 더 일하고 싶은 사람 등을 포함하여 산출
【참고용 : '24년도 청년(15~29세) 고용 특징】
◈ 청년고용률 46.1%(전년대비 △0.4%p 하락)
◈ 핵심 취업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은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양호한 흐름
◈ 청년실업률 5.9%로 역대 최저 기록(`23년과 同)
◈ 청년확장실업률15.6%로 최저 기록(’15년 통계 작성 이후)
□ (청년고용률) 46.1%(전년대비 △0.4%p 하락), 취업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은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양호한 흐름
* 청년 고용률(년도, %): (’20) 42.2 (’21) 44.2 (’22) 46.6 (’23) 46.5 (‘24) 46.1
* 20대 후반 고용률(%): (’20) 67.6 (’21) 68.5 (‘22) 71.4 (‘23) 72.3 (‘24) 72.5
□ (청년취업자 수) 375.5만명(전년대비 △14.4만명), 연속 감소 추세(’23년 △9.8만명)
↳ 생산연령인구 감소폭(’24년 △23.8만명)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취업자 증가폭 축소,
국내 정치상황에 따른 가계, 기업 심리영향, 수출증가세 둔화로 감소
* 청년 취업자 증감(만명): (’20) -18.3 (’21) 11.5 (‘22) 11.9 (‘23) -9.8 (‘24) -14.4
↳15∼19세 취업자 증감(만명): (’20) -3.6 (’21) 0.9 (‘22) 0.7 (‘23) -1.6 (‘24) -1.9
↳20~29세 취업자 증감(만명): (’20) -14.6 (’21) 10.5 (‘22) 11.2 (‘23) -8.2 (‘24) -12.4
** 청년 인구 증감(전년대비, 만명): (’20) -14.9 (’21) -14.1 (‘22) -20.3 (‘23) -17.7 (‘24) -23.8
□ (청년실업률) 5.9%(전년대비 同), `95년 4.6% 이후 역대 최저 기록
* 청년 실업률(년도, %) (’20) 9.0 (’21) 7.8 (’22) 6.4 (’23) 5.9 (‘24) 5.9
* 25~29세 실업률(년도, %): (’20) 8.1 (’21) 7.3 (’22) 6.0 (’23) 5.9 (‘24) 5.6
□ (청년실업자 수) 23.5만명(전년대비 △0.8만명), `18년이후 연속 감소 추세
* 청년실업자(년도, 만명): (’20) 37.0 (’21) 32.6 (’22) 27.2 (’23) 24.3 (‘24) 23.5
□ (청년확장실업률) 15.6%(전년대비 △1.0%p 하락),
통계 작성(’15년) 이후 최저 기록(청년취업애로계층 67.4만명, 전년대비 △7.6만명 감소)
* 청년 확장실업률(%, 년도): (’20) 25.1 (’21) 23.1 (’22) 19.0 (’23) 16.6 (’24) 15.6
↳청년취업애로계층(67.4만명):=
①실업자(23.5만명) + ②시간관련취업자(11.8만명) + ③잠재경활인구(32.1만명)
□ (청년비경제활동인구) 416.2만명(전년대비 △8.7만명 감소)
* 비경활인구(년도, 만명): (’20) 477.8 (’21) 456.7 (’22) 429.9 (’23) 424.8 (’24) 416.2
ㅇ 청년층 ‘쉬었음’은 42.1만명(전년대비 2.0만명 증가)
* 쉬었음(년도, 만명) (’20) 44.8 (’21) 41.8 (’22) 39.0 (’23) 40.1 (’24) 42.1
유의사항
o 매월 발표되는 통계청 『경제활동인구조사』자료중 청년층(15세~29세)을 대상으로 하는 통계수치임에 유의지표 담당
고용노동부, 청년고용기획과, 044-202-7449최근 갱신일
2025-11-12용어설명
- -청년층: 매월 발표되는 통계청 『경제활동인구조사』자료중 청년층(15세~29세)을 대상으로 하는 통계수치임에 유의
- -실업자: 실업자란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에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전혀 일을 하지 못하였으며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던 사람으로서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을 말한다
- -취업자: 취업자란 조사대상 주간에 소득, 이익, 봉급, 임금 등의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, 자기에게 직접적으로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라도 가구단위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와준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자,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일시적인 병, 일기불순, 휴가 또는 연가,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를 말한다.
- -생산가능인구: 생산가능인구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연령의 인구를 말하며, 실제로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의 대상이 되는 만15세이상 인구가 이에 해당된다(15세 이상 인구)
- -경제활동인구: 만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주간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 않았으나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를 말한다(취업자수+실업자수)
- -실업률: 실업자수/경활인구×100
- -취업률: 취업자수/경활인구×100
- -고용률: 취업자수/생산가능인구×100
- -경활참가률: 경활인구/생산가능인구×100